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함부로

스마트팜 살균장치 와 플라즈마살균수 소개 본문

스마트팜이야기

스마트팜 살균장치 와 플라즈마살균수 소개

MU JI 2025. 3. 24. 09:17
반응형

 스마트팜에서 플라즈마 살균수(PAW, Plasma Activated Water)가 사용되는 원리, 장치 구조, 그리고 응용


🌱 스마트팜 X 플라즈마 살균수, 농업의 미래를 깨우다!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첨단 농업 기술의 정수인 플라즈마 살균수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. 특히 스마트팜에서 이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, 그리고 장치의 구조와 효과는 어떤지 쉽게 풀어드릴게요.


🔬 플라즈마 살균수란?

플라즈마는 고체, 액체, 기체에 이은 제4의 물질 상태로, 전기적 에너지를 받아 기체 내의 분자들이 이온과 전자로 나뉘는 상태입니다. 이 상태에서는 매우 반응성이 높은 활성종(Radicals), 이온, 전자들이 생기며, 이를 물과 반응시켜 만든 것이 바로 **플라즈마 활성수(PAW)**입니다.

이 물은 그냥 물이 아닙니다. 병원균을 죽이고, 식물의 성장을 돕는 능력까지 갖춘 ‘기능성 물’이죠!


⚙️ 어떻게 만들어질까? — 장치의 구조

플라즈마 활성수를 만들기 위한 핵심 장치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. 방전 반응기 (Dielectric Barrier Discharge, DBD)

  • 동축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어 물과 플라즈마가 효율적으로 접촉합니다.
  • 전극과 유전체 튜브를 통해 고전압을 가하면 공기 중의 산소/질소가 이온화되어 플라즈마가 발생합니다.

2. 냉각 시스템

  • 고출력 플라즈마는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, 수냉 또는 공냉 방식의 냉각 장치가 함께 탑재됩니다.

3. 수처리 챔버

  • 반응기로 생성된 플라즈마는 물과 반응하여 산화력 높은 물질(예: H₂O₂, NO₃⁻, ONOO⁻ 등)을 포함한 물이 됩니다.

이 장치를 통해 시간당 최대 1000L의 플라즈마 활성수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도 있습니다.


🌾 스마트팜에서 어떻게 쓰일까?

1. 병원균 살균

  • 각종 박테리아, 곰팡이균,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여 병해충 없이 건강한 작물 생산 가능.

2. 생장 촉진

  • 질산염(NO₃⁻)과 아질산염(NO₂⁻)이 포함되어 있어 비료처럼 작용, 식물의 뿌리 성장과 발아율 증가에 도움.

3. 양액기 통합

  • 스마트팜의 양액기 시스템과 통합되어 정밀하게 pH, EC 조절, 살균된 양액을 자동 공급.

✅ 실제 적용 사례

  • 로메인 상추 수경재배에 플라즈마 방전수 적용 시, 일반 처리군 대비 생장량 증가, 항산화 기능 향상이라는 결과가 보고됨.
  • 토마토 수경재배에서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위조병 병원균의 사멸이 확인됨.

🛠️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!

  • 스마트팜을 운영하며 양액 살균이나 생장 촉진이 필요한 농업인
  • 농약 사용 없이 안전한 작물을 생산하고 싶은 분
  • 도시농업, 식물공장, 새싹채소 등 고부가가치 농업에 관심 있는 창업자

📌 마무리하며

플라즈마 기술은 이제 농업의 뿌리까지 파고들고 있습니다. 단순한 살균을 넘어 스마트 농업의 중심 기술로 떠오른 이 기술, 여러분의 농장에도 도입해보면 어떨까요?

궁금한 점이나 적용 사례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이나 메시지로 남겨주세요!

https://www.plasmakorea.com 플라즈마라이프(주)


🛰 관련 참고자료:

반응형